현재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셜 애플리케이션은 유튜브, 카카오톡, 당근마켓이다.
8일 모바일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 앱애니는 ‘소셜 미디어 앱의 진화 ‘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앱애니에 따르면 한국인은 2021년 상반기에 소셜 앱에 1억 2,300만 달러를 지출했다. 이는 세계에서 5번째로 큰 소비자 지출이 된다. 이는 연간 30%의 성장률이다. 그 가운데 미국, 일본, 중국, 사우디아라비아가 각각 1위부터 4위까지를 기록했다.
앱애니의 연구에 따르면 2010년과 2021년 6월 사이에 한국인은 총 16억 4400만 개의 소셜 앱을 다운로드하고 10억 2200만 달러를 지출했다. 2021년 상반기 한국인은 소셜 앱 중 ‘유튜브‘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카카오톡‘에 가장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당근마켓‘을 가장 많이 다운로드한다.
‘유튜브‘, ‘카카오톡‘, ‘페이스북‘은 2021년 상반기 이용시간 기준으로 각각 1위부터 3위까지 순위를 매긴 앱이다. 통계적으로 이 순위는 2018년부터 같은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인의 ‘유튜브‘ 월평균 이용시간은 39시간이다.
소셜 앱 소비 지출 부문에서는 ‘카카오톡‘이 지난 10년간 변함없는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2위 ‘유튜브‘, 3위 ‘왓챠‘에 이어 6개의 동영상 관련 앱이 상위 10위 안에 포함되었다.
‘당근마켓‘은 2019년 다운로드 순위 4위로 데뷔해 2020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1위를 차지했고, ‘넷플릭스‘와 ‘카카오톡‘이 각각 뒤를 이었다.
2010년 4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740억 개의 소셜 앱이 다운로드되었다. 이와 함께 누적 소비자 지출은 222억 달러이다. 앱애니는 소셜 앱에 대한 전 세계 소비자 지출이 2025년까지 7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다.
데이비드 김 앱애니 한국 지사장은 “2021년 말까지 중국 외 지역의 상위 5개 소셜 앱의 사용시간은 안드로이드 폰 에서만 5조 시간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며 “텍스트에서 사진, 동영상, 음성, 동영상 및 라이브 스트리밍 까지 무궁무진하게 발전하는 소셜 앱들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